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파일 올리기
라이선스
18.189.192.75
Please login!
설정
다크 테마로
라이트 테마로
로그인
최근 변경
[
]
역사
보기
RAW
blame
되돌리기
비교
제로 프로젝트/TMI
(r44로 되돌리기)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
이 있습니다.
[오류!]
[[분류:제로 프로젝트]][[분류:TMI]] [include(틀:상위 문서,top1=제로 프로젝트)] [clearfix] [include(틀:떡밥위키 오리지널)] [include(틀:제로 프로젝트)] [목차] == 개요 == 일본의 [[지하 아이돌]] 그룹 [[제로 프로젝트]]에 대한 TMI를 기록하는 곳이다. == 과연 이들은 아이돌인가? == 일단은 지하 아이돌로 분류를 했지만, 이들이 [[아이돌]]이 맞긴 한가에 대한 고찰을 해보자. 제로프로는 Z1~Z5 다섯 단계의 리그로 나뉘어져 있으며 멤버들은 처음에 Z5로부터 시작해서 이후 승격이나 강등이 된다. 그리고, 이 중에서 고유 의상을 갖추고 팀별로 라이브에 출연하는 팀은 Z1/Z2 상위 리그의 팀들이다. 나머지 Z3 이하의 팀들은 라이브에 출연할 때 팀별이 아닌 블럭별로 3~4팀 단위가 한꺼번에 출연한다. 그래서 다른 그룹들의 경우 지하 아이돌 타이반에 출연하게 될 때 한 그룹이 나와서 온전하게 3~4곡을 부르고 나가는데, 제로프로 하위리그의 경우 한 팀이 1곡 부르면 다른 팀으로 바뀌어서 다시 1곡을 부르고...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 게다가 하위 리그는 제대로 된 고유 의상이 아니라, 제복을 착용하고 공연한다. 물론 멤버별로 제복 커스터마이징이 다르긴 하다. 그래서 상위 리그는 아이돌이 맞긴 하지만, Z3 이하의 하위 리그는 아이돌이라기보다는 '연구생' '연습생' 에 더 가까운 느낌이다.[* 물론 다른 사무소의 경우도 히로인즈 연구생이나 카부키타이 등의 사무소 연구생 그룹을 활동시키긴 한다.] 게다가 특전회 시간이 되면 Z3 이하의 경우 10명 이상의 멤버들이 특전회에 찾아온 오타쿠들에게 무서운 눈빛으로 자기를 찍어달라고 호소한다. 멤버 계약 기간 또한 지하 아이돌 중에서도 굉장히 짧아서, Z3이하 및 U17의 경우 3개월밖에 안되고 활동을 지속하고자 할 시 계약갱신을 해야 한다. Z2 이상의 상위 리그는 승격 시점에서 계약기간이 2년이 된다. Z2로 승격한 멤버가 이후 인기 저하 등의 이유로 Z3로 강등되어도 계약 기간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나마 2024년 말부터는 하위 리그의 경우도 어느정도 줄이 길어지긴 했지만[* 이전에는 팀 이름 그대로 Z4나 Z5가 타이반에 출연하면 특전회 때 체키 찍는 사람이 제로인 경우도 허다했다.] 이것도 온전히 라이브 때문에 늘어난게 아닌, 이른바 '제로챠'라고 불리는 믹스채널 플랫폼 내에서의 경쟁 이벤트 때문에 그렇다. 믹스채널은 원래 스마트폰용 방송 플랫폼으로서, 이 믹스채널에서 여러 이벤트가 열려서 아이돌 멤버나 모델을 뽑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K-POP 걸그룹의 일본인 멤버를 믹스채널에서 뽑을 때가 있다. 하지만 제로프로는 이 믹스채널을 자기들 멤버간의 경쟁 플랫폼으로 사용했다. 각 리그별로 상위 5명한테 신곡을 준다던가 정기공연에 출연시킨다던가 하는 특전을 걸었는데, 이것 때문에 이 제로챠라는게 시작된 뒤의 데뷔생들 중에서는 방송에서 도네를 많이 받는 사람들이 인지도가 생기게 되는, 주객전도가 된 현상이 생기고 말았다. 물론 유튜브나 트위치, 니코니코동화 등의 본격적인 인터넷 방송 플랫폼은 아니지만, 아이돌 라이브로서의 인기보다는 라이브 방송인으로서의 인기가 늘어나게 되는 현상이 과연 그룹의 미래에 올바른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나마 이들이 한국 내의 인지도가 제로에 가까운 수준이라 망정이지 만약에 조금이라도 알려졌으면 얘네도 [[이세계아이돌]]과 마찬가지로 아이돌인가 아닌가에 대한 논란이 있었을 것이다. == 주의사항 == 멤버가 워낙 많은데다가, 멤버 각각의 인간관계도 있기 때문에 잘못 발을 들여서 교류하는 멤버들이 많아지다보면 결국 주머니 사정은... --팬의 재정을 제로로 만드는 프로젝트-- 게다가 그룹 체급에 비해 사인체키가 비싼 그룹이라서 더더욱. Z3 이하 하위리그도 사인체키가 장당 2천엔이며 상위리그인 Z1과 Z2는 사인체키가 3천엔이다. 비슷한 동원력인 다른 지하돌은 보통 사인체키가 천5백엔에서 2천엔 정도. 그것도 모자라서 상술했듯이 믹스채널이라는 모바일 방송 플랫폼에서 제로챠라는 이름의 멤버 경쟁 이벤트를 매월 개최해서, 리그별로 제로챠에 상위에 올라가야만 특정 라이브에 출연이 가능하다. 문제는 이게 온전히 시청자의 도네로 이뤄지는거라 팬들의 주머니를 더더욱 얇게 만드는 원인. 소속사인 Origami사의 사장인 이시바시 잇페이에게 잘못 걸리면 안된다. 만약 잘못 걸리게 되면 [[남간]]에서 [[우만레]]한테 잘못 걸렸을때와 비슷한 결과를 초래한다. == 오리콘 차트 1위? == 사실이다. 2024년에 발매한 첫 실물 CD앨범 Seize A Chance!가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에서 1위를 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것도 뒷이야기가 있으니, 이때는 Z1이 없었고 당시의 최상위 리그였던 Z2 멤버들이 릴리즈 이벤트를 뛰었는데, 릴리즈 이벤트에서 CD를 구매했을 때 원하는 멤버한테 투표할 수 있고, 이 투표결과를 팀별로 집계해서 1위 팀을 최초의 Z1팀으로 승격시켜준다는 조건이었다. 이때 오타쿠들이 CD를 몇백장 사서 한 멤버한테 몰표를 던지는 일이 여럿 있었고, 그래서 결국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1위까지 가는 기염을 토했는데, 이 때 당시 Z2-A1과 Z2-B4가 피터지게 경쟁을 했고, 결국은 1위를 해서 Z1로 올라간 팀이 Z2-A1(마부다츄)이 되었던 것이다. 제로프로가 동원력이 좋다기보다는 소수의 고래가 그룹을 먹여 살린다는 이미지가 생긴 것이 이 때. 참고로 이 때 안타깝게 못 올라간 Z2-B4도 결국 이후에 Z1로 올라가긴 올라갔다. 현재의 policy의 전신. == 월드스타? == [include(틀:거짓)] [[파일:zeropro_worldstar.jpg|width=320]] 2025년 제로프로 그룹 공식 SNS계정 및 Z1/Z2 멤버들의 팔로워가 천 명 이상 급증가했다. 그리고 그들의 대부분은 한국어 사용 계정과 중국어 사용 계정으로 밝혀져서, 제로프로가 해외로도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는 증거로 보인다.[*진실 이들의 정체는 번역기를 사용한 봇 계정들이다. 즉 SNS 팔로워를 샀다는 것.] == 해외원정 == 2023년 말에 대만으로 원정간게 처음이자 마지막. 이런 그룹이 내한 오는것은 지구가 멸망하는 것보다 가능성이 낮다. == 한국에서의 벤치마킹 그리고 실패 - 특전소녀전선 == 2024년, 한국의 쓰리와이코프레이션[* 걸그룹 qwer의 소속사]에서는 특전소녀전선이라는 이름으로 퍼포먼스 아이돌 프로젝트를 시작해서 유튜브 채널을 굴렸는데, 전현직 지하돌, 메이드카페 캐스트, 인플루언서를 모아서 5인 1조로 상하위 2부리그로 나누어서 진행했다. 5인 1조와 승강이라는 점이 어디서 많이 보지 않았는가?[* 인플루언서들한테 아이돌 라이브를 시킨 것은 제로프로의 소속사 Origami사의 과거 소속 아이돌인 #LOG1N(로그인)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도 저도 아닌 어정쩡한 진행[* K-POP 커버로 갈 것인가 아예 서브컬쳐로 갈 것인가에 갈팡질팡해서 어느 쪽 팬도 제대로 잡지 못했다.] 때문에 인기를 잃어가고 일부 팀은 해산했으며 결국 언젠가부터 승강제를 폐지하고 남은 팀들끼리 파이널 시즌까지 진행하게 되었다. 원래 최종 우승자에게 주어지게 되는 오리지널 곡도 결국 없었던 것이 되었다. == 제로프로의 10월 == 2024년부터 0이 들어가는 날은 제로프로의 날이란답시고 매월 10일, 20일, 30일에 정기공연을 시작했다. 그럼 10월은 모든 날에 0이 들어가는데 어떻게 되냐하면... [[파일:zeropro_october.jpg]] 2024년 10월에 정말로 하루도 빠지지 않고 제로프로 출연 공연을 열었다. 물론 출연팀은 로테이션을 돌렸고, 이중 몇몇 날은 외부 아이돌 그룹을 불러서 타이반으로 열었지만... == 그 외 == [[야구모 리츠|한 사관이 좋아하는 멤버]]가 이 그룹의 U17에 존재한다. 그의 일본 생활중에 유일한 낙이라나. 그의 말에 따르면 머릿수만 많을 뿐이지 지저돌이지만 그래도 오시멤버 때문에 계속 파고 있다고. 총 인원이 많다보니 전팀 출연 공연 단체사진에는 아이돌과 팬 1대1 매칭이냐는 [[밈]]이 있다. 결성 당시의 최초의 125명은 5명의 0기생, 120명의 1기생인데, 0기생들은 전 아이돌 멤버거나 인플루언서거나 하는 이유로 결성 때부터 멤버로 결정되었고, 1기생은 오디션으로 뽑혔다. 현재 유일하게 제로프로 내에서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0기생은 [[아사히나 린]]. 그룹 이름이 그룹 이름이다보니 붙는 드립이 '제로' 관련이 많다. 상술했듯 특전회때 하위 리그 멤버들 체키 찍는 사람 제로라던가, 팬의 재정이 제로가 된다던가 등. 그룹이 시종일관 내부경쟁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이라 팬덤 내 내갈[* 내부 갈드컵]이 없을 수 없다. 심지어 그룹 자체적으로 주최하는 공연에서는 Z1과 Z2의 경우 출연 순서마저 그룹 지명 순서대로 결정된다. AV배우 마츠시타 리코가 AV배우 데뷔 이전에 한때 제로프로에 있었다. 제로프로에서의 예명은 쿠루스 유우카. 물론 Z4 이상으로 승격은 하지 못하고 Z5에만 있었다가 계약종료로 조용히 팀을 떠났다. 일본 도쿄 시부야역 하치코 출구에 가면 여러 지하돌 멤버들이 전단지를 나눠주는데, 특히 주말에는 높은 확률로 제로프로 멤버나 데뷔생이 그 중에 있다.
요약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89.192.75)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되돌리기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Liberty
|
the tree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사이드바 설정
고정
숨김
우측 표시
하단 표시
내비게이션 바 고정
사용
페이지 이동 시 검색 창 초기화
사용